.

2023년 전기자동차 보조금

구분 2022 2023(개편안) 전기
승용 ▪(기본 가격 기준) 5.5천만원 미만의 보조금 전액 지불/5.5~8.5천만원 50%/8.5천만원 초과시 미지급 ▪5.7천만원 미만 보조금 전액 지급/5.7~8.5천만원 50%/8.5천만원 초과시 미지급 ▪(보조금 상한) 최대 600만원, (초소형)400만원겸 ▪(중간·대형)최대 500만원, (()소형)400만원, (초소형)350만원겸 ▪(인센티브) 이행 보조금(70만원), 에너지 효율 보조금(30만원) ▪이행 보조금(140만원), ()충전 인프라 보조금*(20만원), ()혁신 기술 보조금**(20만원), 에너지 효율 보조금은 폐지
* 최근 3연내 급속 충전기 100이상한 설치 메이커 차량 지원
** 2023년년에 V2L 탑재 차량 지원 ▪(성능 차이) 주행 거리 150km 미만의 보조금 계산 계수 0.6 적용/주행 거리 400km까지 보조금의 차이 ▪주행 거리 150km 이하 보조금 산정계수 0.5 적용(20% 감액), 주행 거리 450km까지 보조금의 차이 ▪(취약한 계층 구조 지원) 보조금 산정액의 10% 추가 지원 ▪좌동(그냥, 초소형은 20%로 확대) ▪(()사후 관리 평가) 직영 or 협력 A/S 센터 운영 여부, 유지 보수 이력 계산 관리 시스템의 유무 팔로우 평가하고 보조금 차이*
* (1평가) 1.0/(2평가) 0.9/(3평가) 0.8 ▪(산식) 최대 700만원 = 성능 보조금(600) + 이행 보조금(70)+ 에너지 효율 보조금(30) ▪(산식) 최대 680만원(중간·) or 580(작은다음) = 성능 보조금(500(중간·) or 400(작은다음)) × 사후 관리계수(1.0~0.8) + 보급 목표 이행 보조금(140)+ 충전 인프라 보조금(20) + 혁신 기술 보조금(20)

전기
싸움 ▪(()배터리 특성 평가) 국내인정안전시험에 합격한 경우 혜택(300만원), 배터리 에너지 밀도에 따른 차분 지원*
* (500Wh/L 이상) 1.0 / (450~500) 0.9 / (400~450) 0.8 / (400 이하) 0.7 ▪(()사후 관리 평가) 유지보수·부품 관리 센터 운영 여부, 유지 보수 이력 계산 관리 시스템의 유무따라 평가*하고 보조금 차이
* (1평가) 1.0/(2평가) 0.9/(3평가) 0.8 ▪(산식) 최대 7,000만원(), 5,000(중간) = 공연보조금(7,000 or 5,000) ▪(산식) 최대 7,000만원() or 5,000(중간) = 성능 보조금(6,700() or 4,700(중간)) × 배터리 효율 계수(1.0~0.7) × 사후 관리 계수(1.0~0.8) + 배터리 안전 보조금(300) 전기
화물 ▪(보조금 상한) (소형)최대 1,400만원, (딱딱한)1,000만원, (초소형)600만원 ▪(소형)최대 1,200만원, (딱딱한)900만원, (초소형)550만원 ▪(성능 차이) 소형 기준 기본 보조금 500만원 정액 지불, 성능 보조금 900만원 주행 거리 공연 200km까지 차이 ▪기본 보조금 폐지, 전액성능보조금화(1,200만원), 주행 거리 성능 250km까지 차이 ▪(취약한 계층 구조 지원) 보조금 산정액 10% 추가 지원 ▪30% ▪(재지원 제한 기간) 2 ▪5 ▪(()사후 관리 평가) 상기 전기회의기준과 같은 ▪(산식) 최대 1,400만원 = 기본 보조금(500) + 성능 보조금(900) ▪(산식) 최대 1,200만원 = 성능 보조금(1,200) × 사후 관리 계수(1.0~0.8)
error: <b>Alert: </b>Content selection is disabled!!